損山澤

損은 益과 同宮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二少相交하는 山澤卦로 되고 또한 乾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는데 山과 澤은 모두 上行性이 있어 山도 地의 聳上한 것이오 澤도 山上으로 上升하는 것이므로 天地가 圜行하면서 山澤이 모두 上行하여 損下益上의 象이 되는 것이다.

山澤損과 澤山咸의 同異한 바는 損咸이 모두 山澤으로서 上行性이 있으되 咸은 外坤內乾한 天地組織의 象이므로 上行치 아니하는 것이오 損은 內坤外乾하여 天地의 運行하는 象이 되므로 上行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또 物의 運行에는 能動하는 陽이 主하고 陰은 受動하는 것인데 咸은 三陽이 坤陰中에 聚居하여 上下하는 運動이 없으므로 上行치 아니하고 損은 上下의 陽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므로 山澤의 氣가 上行하여 彖에 그道가 上行한다고 한 것이다.

損益은 그卦自體에만 天地圜行의 象이 있는 것이 아니라 損益兩卦의 사이에도 天地圜行의 象이 있으니 損의 山澤의 形은 地道이오 損의 道의 上行은 곧 地道의 上行이며 益의 雷風의 氣는 天道이오 益의 道의 下行은 곧 天道의 下行이니 그러므로 損의 地道는 上行하여 陰體의 象이 되고 益의 天道는 下行하여 陽體의 象이 되어 天地가 相交하는 것이다.

損은 乾坤의 圜行卦로서 艮兌로 되어 있으니 이는 乾의 九三의 陽이 坤의 上六에 往하여 艮이 되고 坤上六의 陰이 乾九三에 來하여 兌가 되고 한 象이다.

그런데 陰陽이 上下로 往來하는 現象은 乾陽의 能動하는 運行을 因하여 生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損卦의 陰陽往來도 九三의 陽을 損하여 上六의 陰을 益하는 損下益上이 되는 것이다. 卦名을 損이라 하여 損下의 뜻을 取한 것은 物의 生生은 下卦의 地의 位에서 行하는 것이므로 下卦의 物을 爲主하여 下를 損하여 上을 益하는 까닭에 損의 象을 取한 것이다.

損字는 手와 口와 貝로 되니 手는 艮象이오 口는 兌象이오 貝는 貨貝로서 交易의 象이라 損은 艮兌가 서로 交易하는 卦이므로 艮手兌口의 相交하는 損字를 쓴 것이다.

損은 乾坤卦로서 六三의 陰에서 陰陽이 往來하니 이는 坤卦六三과 같이 用六宮의 象이 되므로 損益은 坤彖의 用六宮의 安貞之吉應地無疆에 當하고 또한 文王八卦圖의 坤離에 當하여 陰體의 生殖作用의 象이 있는 것이다.

時運의 變化하는 때에는 陰陽의 上下하는 象이 나타나는 것이니 損益의 損下益上과 損上益下도 또한 陰陽上下의 한 形態이다. 長의 時運에 家人睽蹇解에서 陰體가 이미 長成하였으므로 損益에서 陰陽이 相交하여 第二世를 孕胎하는 作用이 行하는 것이니 이는 時運變化의 前兆이오 陰陽의 上下損益은 陰體와 陽體의 相交하는 象을 말한 것이다.

損과咸이 모두 山澤의 有形한 形質로서 人身의 象이 되는데 咸은 人身의 後面의 象으로서 有形한 사람이 無形한 神에게로 돌아가는 象이 되고 損은 人身의 前面의 象으로서 無形한 神으로부터 有形한 사람이 出來하는 象이 되며 人身의 前面이 보이는 損은 股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男女가 構精하여 사람을 生하는 象이 되는 것이다. 損益乃文王八卦圖之震兌 故帝出震 而有二簋享帝之象

享이라 함은 獻하고 受하고 하는 뜻이오 神에게 獻하여 올리는 것이 곧 享이다. 神은 사람의 始祖이니 사람이 上으로 始祖神을 繼하는 것은 또한 自身을 마디로 하여 下로 子孫에게 傳하는 일이며 이는 始祖神으로부터 生命을 受하고 그 生命을 繼承하여 子孫에게 傳하는 까닭에 始祖神과 子孫과의 사이에는 繼繼不絶하는 生命의 줄이 있는 것이다.

物의 運行의 理로써 보면 始祖神을 中心으로하여 下로 子孫에게 傳하는 것은 遠心運動이오 子孫이 上으로 始祖神을 모시는 것은 向心運動이라 向心運動은 반드시 始祖神에게 獻하여 올림이 있는 것이오 子孫이 始祖神에게 獻하여 올림이 있으면 始祖神으로부터 또한 子孫에게 賜하여 내림이 있는 것이니 이가 곧 獻하고 受하고 하는 享이다. 享에 獻受의 두 가지 象이 있는 것은 무슨까닭인가 하면 損이라 함은 下가 自身을 損하여 上을 益함이라 下에서 上을 益하면 天地圜行의 理에 依하여 반드시 上으로부터 下에 내리는 것이므로 下가 그 益을 다시 受하게 되는 것이니 이가 享에 獻受의 兩象이 있는 所以이다.

그러므로 易經에는 上으로 始祖神을 繼하고 下로 子孫에게 傳하고 하는 象이 있는 卦爻에 모두 享의 象을 말한 것이다. 사람이 始祖神을 享하는 것은 向心運動이니 向心運動은 收斂하는 象이오 遠心運動은 生長하는 象이라 序卦로써 보면 乾으로부터 明夷까지의 三十六卦는 乾策의 數로서 生長하는 遠心運動이 되고 家人睽가 비로소 收斂卦로 되어 向心運動으로 轉換하는데 遠心運動을 하는 卦爻의 中에는 享이라는 것이 全然없고 家人睽蹇解의 收斂卦를 지나서 비로소 享이 있으니 損彖의 二簋可用享 益六二의 王用享于帝 萃彖의 致孝享 鼎彖의 以享上帝 渙大象의 享于帝가 모두 始祖神을 享하는 向心運動의 形態를 말한 것이다.

簋는 外圓內方한 祭器이니 外乾內坤이 곧 外圓內方의 象이오 二簋는 咸의 二氣와 相照하여 艮兌를 말함이다. 曷은 止함이니 曷之用二簋는 夫婦의 二人相配의 뜻이다. 感應은 氣로써 하는 까닭에 咸에는 二氣라하고 相交는 形質로써 하는 까닭에 損에는 二簋라 한 것이오 祭器인 簋字를 쓴 것은 祭와 享의 뜻이 相照하는 까닭이다.

彖에 有時를 두 번 말한 것은 艮兌相交의 段階를 말함이니 二簋應有時는 艮兌는 달의 象이오 달에는 盈虛가 있으므로 二簋를 用하여 交合하는 生殖作用에는 時가 있다 함이오 이미 交合하면 陽體의 剛을 損하여 陰體의 柔를 益하는 것도 또한 時가 있다 함이다. 그러므로 損하고 益하고 하여 盈하고 虛하고 함은 時로 더불어 함께 行하는 것이니 損에는 時運變化의 前兆가 있으므로 損益盈虛의 時를 말한 것이다.

六三은 男女構精의 象이오 自身을 損하여 上을 益하는 主爻이다. 三人이 行하면 一人을 損한다 함은 乾三劃에서 陽一人을 損하여 上을 益함을 말함이오 需上六의 三人도 또한 下卦의 乾三劃을 말한 것이며 一人이 行하면 그 友를 得한다. 함은 六三의 一陰은 곧 一人의 行함인데 上九를 得하여 應을 삼는 것이 곧 그 友를 得함이니 陽을 友라하고 陰을 朋이라 한다. 三인 때는 一을 損하여 二를 만들고 一인 때는 一을 得하여 또한 二를 만들고 하는 것은 二는 陰陽相配의 致一하는 數이오 이가 一夫一婦의 原理이다. 卦辭의 曷之用二簋可用享은 六三爻의 原理를 말함이니 止하여 二簋를 用한다 함은 二人相配하는 一夫一婦라는 뜻이오 一人을 損하여 上六에 올리고 上九로부터 友를 得하고 하는 것은 獻하고 受하고 하는 享의 뜻이다.

繫辭에는 이것을 生生의 象으로써 말하여「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이라 하니 絪縕은 陰陽相交의 象으로서 一索 再索 三索하는 索의 뜻이오 醇은 穀을 釀하여 酒를 만드는 것이니 化學作用으로써 異質의 物을 生함을 象함이다. 坤文言과 繫辭 各爻文言中 噬嗑上九와 損六三에 子曰이 없으니 子曰은 師傅의 말이라는 뜻이라 子曰이 없는 것은 모두 女陰에 關한 일이오 女陰은 十數의 象이니 長의 時運에는 數가 九에 止하고 十이 열리지 아니하므로 師傅가 十數의 象을 말하지 아니한 것이다.

損은 損下益上하는 象이므로 上卦의 成의 中心인 六五에도 或益하는 象이 있으니 或이라 함은 彖의 有時의 뜻이다. 六五는 天地相交하는 陰精의 中心으로서 달의 長成한 象이 되니 十은 數의 成함이오 朋은 달의 陰精에 光明의 照하는 象이오 龜는 離火宮의 象인데 損의 大離의 象과 文王八卦圖의 坤離의 象을 아울러 取한 것이다. 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라 함은 乾陽이 或來施하여 益하는데 달의 長成한 陰精宮이 그것을 違치 아니하고 承受하여 天地가 相交한다 함이다.

損六五에 十數를 말한 것은 長의 時運에는 九數까지를 쓰는 것인데 損益은 后天의 第二世를 孕胎하는 象의 卦이므로 그 母體인 달에 十數를 말하여 后天의 前兆를 表하니 이가 損益에 時運變化의 象이 있는 所以이다.

上九는 六三과 함께 損下益上의 爻이오 得臣無家는 六三의 損人得友와 相照하니 六三이 乾上劃의 陽을 損한 것은 損人이 되고 上九가 坤上劃의 陰을 損한 것은 無家가되며 六三이 上九를 應하는 것은 得友가되고 上九가 六三을 應하는 것은 得臣이 되니 人과 友는 乾의 象이오 臣과 家는 坤의 象이다. 陰과 陽이 六三 上九와 같이 서로 損하고 서로 得하는 것이 損道의 原理이다.

序卦

上經에 小畜離에서 달이 生한 然後에 泰否의 天地가 相交하고 下經에 家人睽 蹇解에서 달이 長成한 然後에 損益의 天地가 相交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損이 解에 次하는 것이다.

大象

損은 艮兌의 男女交合하는 卦이므로 忿이라 함은 男女間의 愛惡하는 感情이오 欲이라 함은 男女間의 情欲의 發露이니 忿과 欲은 모두 火氣의 動함이다. 損은 그 道가 上行하여 火의 炎上하는 象이므로 男女間의 炎上하는 火를 象하여 忿欲이라 한 것이다. 懲은 心을 收斂함이오 窒은 上行하는 氣를 反下케 함이다. 사람은 同人과 家人의 火로써 構成된 까닭에 火氣의 動하는 忿과 欲이 있는 것이니 愛惡하는 感情을 收斂하고 情欲의 發함을 反下케 하는 것이 곧 損의 象이다.

九二는 澤의 中爻로서 山을 上潤하는 主爻가되는데 澤을 損하면 涸하는 것이므로 出하면 陽이 陷하는 것이며 生의 中心에 있으므로 損하되 損치 아니하고 益하여 그 道가 上行하는 것이니 이는 井의 無喪無得 居其所而遷의 뜻이다.

益之는 自身을 益함이니 九二는 上을 益하는 中心이므로 自身을 益하는 것이 또한 上을 益하는 所以이다.

遄은 耑과 辶으로 되어 耑은 物의 初生하는 首이오 辶은 行함이니 遄이라 함은 物의 初生하는 首가되어 行한다 함이다.

損六爻中에 오직 六五에 損字가 없으니 이는 六五에 損益盈虛를 時로 더불어 偕行하는 作用이 있는 까닭이다.

龜는 頤初九의 靈龜와 相照하니 龜는 離火宮의 象이라 陽氣를 承受하는 陰宮을 象함이오 上經의 頤의 極長한 陽氣가 大過의 陰宮에 涉施되는 것이 곧 下經損益의 陰宮이 陽氣를 承受하는 일이니 그러므로 頤와 損益에 龜字를 써서 그 뜻을 表한 것이다.

山澤損 (易經大意 韓長庚)相关推荐

  1. 澤雷隨 (易經大意 韓長庚)

    隨澤雷 隨以後至坎離者 陽氣之長也(男體(含精子)之長也) 咸恒至乾解 陰精之長也(女體(含卵子)之長也) 隨震兌之生長卦 爲씨(男體)也 故反易爲腹中虫也 震兌之始現生長卦 故爲長之時運之始也 隨는 ...

  2. 水天需 (易經大意 韓長庚)

    需水天 需는 乾이 正北의 水中에 있어 北極의 天位에 一天의 大水가 있는 象인데 水는 天上에 恒存하는 物이 아니므로 需卦의 水는 天上에서 始生하는 水의 象이 되고 天上에서 始生하는 ...

  3. 澤山咸 (易經大意 韓長庚)

    咸澤山 坤包乾=月體 月體以太陽之雷風運行也 咸은 恒과 同宮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二少相交하는 澤山의 卦로서 內乾外坤하니 澤山은 모두 形質이오 內乾外坤은 天地組織의 象이라 ...

  4. 澤火革 (易經大意 韓長庚)

    革澤火 革은 澤地萃에서 變來하여 陰精中에 火를 包하고 陽氣가 뭉치는 象이오 陰精이 火를合한 生長卦이므로 胎宮卦가 된 것이며 三女生長卦로서 兌澤이 있으므로 元亨利貞의 四德이 있으 ...

  5. 重地坤 (易經大意 韓長庚)

     坤重地 先迷 = 先하면 迷하고, 後得主 = 後하면 主를 得하여 利하고, 先天에는 迷하고, 後天에는 主를 得하여 利하고, 土中은 戊申이다. 戊申爲月之胎宮 故月復於戊申也(正易) ...

  6. 重天乾 (易經大意 韓長庚)

    乾重天 乾坤有先后天也 先天而天不違 後天而奉天時 乃先后天之意也 如坤之先迷後得主也 乾은 純陽卦로서 陽氣의 運行하는 天의 象이다. 乾이 三劃의 原卦인 때에는 天의 象이 되는 것이나 上天 ...

  7. 風雷益 (易經大意 韓長庚)

    益風雷 益은 損과 同宮하여 天地日月의 變形한 雷風山澤의 二長相交하는 風雷卦로 되고 또한 乾이 坤을 包하고 圜行하는 象이 되는데 風과 雷는 모두 下行性이 있어 風은 天氣가 下降하여 ...

  8. 地風升 (易經大意 韓長庚)

     升地風 升은 坤陰이 巽의 陰精을 合하고 天氣의 下降하는 陽을 內包하므로 달이 第二世를 孕胎한 象이 되니 益卦의 「地生」의 象이오 그러므로 下經에는 오직 升卦와 胎宮의 革鼎에만 ...

  9. 重火離 (易經大意 韓長庚)

    離重火 離는 上火下火로 되어 日月의 象이 되는데 陰卦의 火象인 까닭에 離火陰宮에 習坎의 陽精水를 承受하여 第二世의 生命을 胚胎하는 象이다. 離는 中虛한 火宮으로서 陰體의 陰宮의 象 ...

最新文章

  1. 《价值50亿的10句话》读后感(学生作业分享)
  2. 使用Spring Boot和Spring MVC自定义HttpMessageConverters
  3. MySQL入门之备份与恢复
  4. Asp.net MVC 3实例学习之ExtShop(一)————创建应用并设置开发环境
  5. webstorm 2017 2016 各个版本 激活破解大全 实测可用
  6. GridSearchCV( )参数详情
  7. android判断正确密码,Android 监听EditText输入框 ,判断输入的密码是什么格式
  8. .Net CF 开发菜鸟笔记(PDA应用开发)
  9. 火山视窗类库静态编译一览表,以及所需求的vs版本
  10. MES(制造企业生产过程执行管理系统)
  11. sx1276, sx1278, Si4463, Si4432, Si4438, sx1212小无线模块对比数据
  12. Nansen:你想知道的关于 NFT 的一切
  13. Ice通信之Ice::Application
  14. 小记:父子工程项目打包报错-程序包com.XXX.XXX不存在
  15. 浅谈市场降温后的区块链发展前景
  16. 面试了10几家公司后被怼,逼的我把源码都吃透了,最终成功入职阿里
  17. 这些数据合并的神操作,你掌握几个?
  18. 双系统Linux grub引导,双系统修复ubuntu grub2引导的方法
  19. mysql 行锁模拟、锁查看及排除
  20. 为什么 C++ 中成员函数指针是 16 字节?

热门文章

  1. 基于ZYNQ的数据存储和实时成像系统
  2. 300 页图解网络 PDF 下载
  3. dw选项卡怎么设置,dw表单中怎么设置方框里面打对勾
  4. 来谈一谈专注力的真相
  5. 1024程序员节,以梦为马,不负韶华,我们来聊聊IT的发展以及个人感受吧!
  6. dbc转excel工具
  7. 研究生英语期末复习(Unit1)
  8. 树莓派计算模块CM4搭建软路由OpenWrt+OpenClash过程记录
  9. 搭建自己的Linux根文件系统
  10. 团队必备的五个基本要素